반응형
SQL문은 크게 DML , DDL , DCL로 분류 가능합니다.
DML은 데이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언어로
SELECT / INSERT / UPDATE / DELETE 가 이 구문에 해당된다.
DDL은 데이터베이스 / 테이블 / 뷰 / 인덱스 등의 데이터베이스 개체를 생성 / 삭제 /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.
자주 사용하는 DDL은 CREATE , DROP ,ALTER가 있다.
DCL은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빼앗을 때 주로 사용한다.
GRANT / REVOKE / DENY 가 있다.
INSERT
데이터를 삽입하는 명령어
INSERT 형식
INSERT INTO 테이블 [ 컬럼의 부분을 추가할 경우 입력 ] VALUES (값들); |
자동으로 증가시켜야할 경우 AUTO_INCREMENT를 사용해줍니다.
AUTO_INCREMENT 형식
CREATE TABLE 만들테이블명 (num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, ... 새로운 컬럼명2 조건2) |
AUTO_INCREMENT로 지정할 때는 PRIMARY KEY 또는 UNIQUE 설정을 해주어야하고 데이터 형은 숫자 형식만 사용 가능합니다.
UPDATE
기존에 입력되어있는 데이터 값을 변경
UPDATE 형식
UPDATE 테이블명 SET 열1=값1 , 열2=값2 where 조건; |
이전 글에서 작성했던 데이터베이스에서 'HongGildong'을 'ilGildong'으로 수정해보겠습니다.
1
|
UPDATE information SET irum='HongGildong' , irum='ilGildong' WHERE irum='HongGildong';
|
출력 결과
where 조건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다음과 같이 전부 다 바뀌는 경우가 생기니 조심해주도록 합니다.
1
|
UPDATE information SET irum='HongGildong' , irum='ilGildong';
|
출력결과
DELETE
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.
DELETE 형식
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; |
조금전에 변경했떤 'ilGildong'을 삭제해보겠습니다.
1
|
DELETE FROM information WHERE irum='ilGildong';
|
출력결과
반응형
'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QL] Mybatis XML 작성 시 SQL 별로 LIKE 동적 쿼리 사용 방법 (0) | 2022.05.17 |
---|---|
SQL 기본편 - SELECT (0) | 2020.03.06 |